고령화 관련 트렌드, 산업

국내 실버푸드 산업 – 고령화 시대의 미래 먹거리

gettingold 2025. 7. 31. 21:15
반응형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에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다양한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실버푸드(Silver Food)’ 산업은 고령층의 건강과 삶의 질을 고려한 맞춤형 식품 시장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실버푸드는 단순히 노인을 위한 식사가 아니라, 영양 균형과 섭취 편의성, 질병 예방까지 포괄하는 고부가가치 식품입니다. 국내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나, 고령화 속도를 고려할 때 향후 수년 내에 대규모 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1. 실버푸드란 무엇인가요?

실버푸드는 고령자의 신체적, 생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식품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씹는 힘이 약한 어르신을 위해 부드럽게 조리된 음식이나, 당뇨·고혈압·치매 등 만성질환 관리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식품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실버푸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저자극, 저염식, 고영양
  • 연화 기술(음식의 물리적 부드러움 강화)
  • 개인 맞춤형 식단 구성이 가능함

이러한 식품은 단순한 요양시설 급식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식, 도시락, 병원식 등으로도 확대될 수 있어 다양한 산업과 융합이 가능합니다.

 

2. 국내 실버푸드 산업의 현황은 어떤가요?

국내 실버푸드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다양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1) 대기업의 진출

CJ제일제당, 풀무원, 대상 등 국내 주요 식품기업들은 이미 고령자를 위한 맞춤형 식품 개발에 착수하였습니다.
CJ는 연화식 제품군을 요양시설에 납품하고 있으며, 풀무원은 건강 맞춤 도시락 브랜드를 통해 고령자 대상 제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2) 정부의 정책 지원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부터 **‘고령친화식품 산업 육성사업’**을 추진 중이며, 중소기업에게 실버푸드 관련 제품 개발 및 연구개발(R&D)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령친화 식품에 대한 인증 제도도 도입이 검토되고 있어, 보다 체계적인 시장 형성이 기대됩니다.

 

3. 해외 사례 – 일본의 실버푸드 산업을 참고하다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국가로, 실버푸드 산업에서도 선진 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유화식(嚥下食)’이라는 개념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삼키기 쉬운 형태의 가공식품이나 씹기 어려운 분들을 위한 젤리 형태의 식품이 보편적으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일본의 성공 모델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삼킴 장애 대상 연화식 개발
  • 요양시설 및 병원 전용 식자재 유통 플랫폼
  • 고령자 전용 식품 UX(사용 경험) 개선 및 패키징 혁신

 

4. 국내 실버푸드 시장의 향후 전망

전문가들은 국내 실버푸드 시장이 향후 10년 이내에 5조 원 이상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망은 실버푸드가 단순한 식품이 아닌, 건강 관리와 영양 솔루션을 포함하는 복합 서비스로 확장될 가능성에 기인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미래 트렌드와 연결되며 더욱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과의 연계
  • AI 기반 건강 분석 맞춤형 식단 서비스
  • 기능성 성분을 활용한 치매 예방 식품

 

5. 국내 실버푸드 관련 실제 기업 및 서비스

1. CJ제일제당 – ‘연화식’ 제품군

  • 제품명: 햇반 연화식, 햇반 부드러운밥
  • 특징: 고령자용으로 개발된 연화밥과 국 제품이 있음
  • 링크: https://www.cj.co.kr

2. 풀무원 – 잇슬림 실버케어 도시락

  • 브랜드: 잇슬림(it’s slim)
  • 제품: 연화식, 고단백 식단 등
  • 링크: https://itslim.co.kr

3. 농심 – 고령친화식품 개발

  • 설명: 농심은 기능성 소재 및 유화식, 삼킴장애 식품 개발을 연구 중

4. 한국식품연구원 – 고령친화식품 개발 지원

  • 설명: 정부 산하 기관으로 R&D 기반의 고령친화식품 연구 수행
  • 링크: https://www.kfri.re.kr

5. 대상 웰라이프 – 케어푸드

 

6. 일본의 실버푸드 대표 사례 (해외 참고용)

1. 아지노모토(味の素) – 유화식 전문 브랜드

2. Nestlé Japan – Nestlé Health Scienc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