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고서 개요
- KB국민은행이 발간한 세 번째 노후보고서
- 전국 50대 이상 가구 대상 설문조사 기반
- 노후준비 현황, 경제력, 거주지 선택, 부부가구 유형별 차이 중심으로 분석
핵심 요약
1. 노후 준비의 양대 축: 건강과 경제력
- ‘건강’과 ‘경제력’이 노후 삶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
- 하지만 실제 준비 상태는 ‘경제력’이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2. 은퇴 시기와 생활비 준비
- 희망 은퇴 나이는 평균 65세지만 실제 은퇴는 55세
- 은퇴 후 생활비로 필요한 금액: 월 평균 369만 원
- 그러나 실제 조달 가능 금액은 평균 **213만 원(57.6%)**에 그침
3. 연금에 대한 의존도
- 조달 가능한 생활비의 65.6%가 연금에 의존
- 국민연금 외에도 퇴직연금, 주택연금, 금융소득, 부동산 수익 등 활용
- 자녀 없는 부부가구일수록 연금 의존도가 더 높음
4. 노후생활의 롤모델 필요성
- 절반 이상의 가구가 "노후에도 롤모델이 필요하다"고 인식
- 롤모델 유형: 지인(49.6%), 부모(19.9%), 인플루언서 등
- ‘자기관리’, ‘가정에 충실함’이 롤모델 선택 이유
5. 실버타운에 대한 인식 변화
- 실버타운 거주에 대해 60.7%가 긍정적
- 이유: '살기 좋은 환경', '노후생활 지원 서비스'
- 여성, 자녀 없는 부부가구일수록 수용도가 더 높음
6. 노후 거주지 선택
- 가장 선호하는 방식은 "현재 살고 있는 곳에서 계속 거주"
- 이유: 익숙함, 안정성, 가족과의 연결성
- AIP(Aging in Place) 실현을 위해 ‘생활지원 서비스’와 ‘주거 안전성 강화’ 필요
마무리 정리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는 한국인의 현실적인 노후 준비 현황을 잘 보여줍니다.
가장 중요한 건강과 경제력 준비가 충분하지 않은 반면, 실버타운과 롤모델에 대한 인식은 점점 변화하고 있습니다.
노후 준비는 단기적인 계획이 아닌, 삶 전체의 전략이 되어야 하며 지금부터라도 맞춤형 준비가 절실합니다.
반응형
'고령화 관련 트렌드,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니어 밴드 (1) | 2025.06.21 |
---|---|
미국 : 붐메이트(Boommate) 현상 (0) | 2025.06.20 |
하우스 라이트사이징(House Lightsizing) (0) | 2025.06.17 |
리츠의 시니어주택 사업 참여, 노인복지법 시행령 개정으로 새로운 기회 열리다 (3) | 2025.06.06 |
트립닷컴 "3E전략으로 여행시장 선도" (2) | 202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