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관련 트렌드, 산업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 요약

gettingold 2025. 6. 18. 03:02
반응형

보고서 개요

  • KB국민은행이 발간한 세 번째 노후보고서
  • 전국 50대 이상 가구 대상 설문조사 기반
  • 노후준비 현황, 경제력, 거주지 선택, 부부가구 유형별 차이 중심으로 분석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 요약

핵심 요약

1. 노후 준비의 양대 축: 건강과 경제력

  • ‘건강’과 ‘경제력’이 노후 삶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
  • 하지만 실제 준비 상태는 ‘경제력’이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2. 은퇴 시기와 생활비 준비

  • 희망 은퇴 나이는 평균 65세지만 실제 은퇴는 55세
  • 은퇴 후 생활비로 필요한 금액: 월 평균 369만 원
  • 그러나 실제 조달 가능 금액은 평균 **213만 원(57.6%)**에 그침

3. 연금에 대한 의존도

  • 조달 가능한 생활비의 65.6%가 연금에 의존
  • 국민연금 외에도 퇴직연금, 주택연금, 금융소득, 부동산 수익 등 활용
  • 자녀 없는 부부가구일수록 연금 의존도가 더 높음

4. 노후생활의 롤모델 필요성

  • 절반 이상의 가구가 "노후에도 롤모델이 필요하다"고 인식
  • 롤모델 유형: 지인(49.6%), 부모(19.9%), 인플루언서 등
  • ‘자기관리’, ‘가정에 충실함’이 롤모델 선택 이유

5. 실버타운에 대한 인식 변화

  • 실버타운 거주에 대해 60.7%가 긍정적
  • 이유: '살기 좋은 환경', '노후생활 지원 서비스'
  • 여성, 자녀 없는 부부가구일수록 수용도가 더 높음

6. 노후 거주지 선택

  • 가장 선호하는 방식은 "현재 살고 있는 곳에서 계속 거주"
  • 이유: 익숙함, 안정성, 가족과의 연결성
  • AIP(Aging in Place) 실현을 위해 ‘생활지원 서비스’와 ‘주거 안전성 강화’ 필요

 

 마무리 정리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는 한국인의 현실적인 노후 준비 현황을 잘 보여줍니다.
가장 중요한 건강과 경제력 준비가 충분하지 않은 반면, 실버타운과 롤모델에 대한 인식은 점점 변화하고 있습니다.
노후 준비는 단기적인 계획이 아닌, 삶 전체의 전략이 되어야 하며 지금부터라도 맞춤형 준비가 절실합니다.

 

2023 KB골든라이프 보고서.pdf
2.77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