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59

일본의 종활(終活)과 한국의 웰다잉(well-dying)

종활(終活, しゅうかつ)이란 '마치다(終) + 활동(活動)'의 일본어 줄임말로, 인생의 마무리를 준비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주로 일본의 노년층이 사망 후 남겨진 가족들에게 부담을 줄이거나, 자신의 마지막을 스스로 정리하기 위해 진행하는 과정입니다. 종활을 하는 사람들이 하는 활동종활을 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합니다.재산 및 유산 정리재산 목록을 정리하고, 유언장을 작성함상속 문제를 미리 조정하여 가족 간 분쟁을 예방장례 준비자신이 원하는 장례 방식(화장, 수목장 등)을 미리 결정장례식 비용을 사전에 준비하거나 계약유품 정리 및 단출한 생활 준비필요 없는 물건을 정리하여 미리 단순한 삶을 준비가족들에게 부담이 될 물건을 미리 처리엔딩노트 작성자신의 인생을 돌아보고 정리하는 노트 작성중요한 연락..

고령화사회 2025.01.29

드라이브스루약국(Drive-Through Pharmacy)

드라이브스루 약국(Drive-Through Pharmacy)는 차량을 이용해 약국의 창구에서 약을 주문, 수령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고객이 약국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도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로 처방전 제출 및 약 수령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드라이브스루 약국은 빠르게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서 고객 중심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이동성과 편리성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 적합한 혁신적 접근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드라이브스루 약국의 주요 특징편리성:이동 중에도 약을 빠르게 수령할 수 있어 바쁜 현대인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합니다.약국 내부에 들어갈 필요가 없어 교통이 혼잡하거나 주차가 어려운 지역에서 특히 유용합니다.안전성:감염 예방: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전염병 상황에서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할 ..

장년 근로자의 안전보건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

한국 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에도 장년 근로자를 위한 매뉴얼이 있습니다.에 따라 고령자를 준고령자(50세 이상)와 고령자(55세 이상)으로 정의하지만, 노동시장에서는 고령자라는 의미가 '은퇴해야 할 사람'이라는 인식이 높고 현재 사회통념 및 기대수명과 많은 차이가 있어 KOSHA 자료에서는 장년 근로자라는 명칭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KOSHA에서 의미하는 장년 근로자란50세 이상인 사람으로서 취업하고 있거나 취업의사가 있는 사람을 의미하며, 장년근로자는 단순히 기능 저하 뿐 아니라 신체 기능과 생리적 반응 저하에 따른 정신적 부담도 같이 나타나고 신체능력 중에서는 시력과 평형감각이 매우 저하됩니다.  장년근로자도 불편함 없이 근로하기 위한 사업장이 되기 위해서는1. 표지나 글씨는 크게 게시하고, 정보..

카테고리 없음 2025.01.28

에이지 프렌들리 가이드라인(Age-Friendly Guidelines)

일본 후생노동성이 고령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한 지침으로, 고령 근로자가 더 오래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수 있도록 직장 환경과 작업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목적고령화 사회에서 고령 근로자가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생산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기업이 고령 근로자를 존중하며, 이들의 경험과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1. 작업 환경 개선조도 및 시야 확보: 고령 근로자의 시력 저하를 고려해 작업 장소의 조도를 높이고, 눈부심을 줄이는 조치를 권장합니다.넘어짐 사고 예방: 통로에 단차를 없애고, 미끄럼 방지 재질을 사용하며, 계단에 손잡이를 설치합니다.작업..

고령화사회 2025.01.28

주거구독 서비스 어드레스(ADDress)

어드레스(ADDress) 일본에서 시작된 주거 구독 서비스로, 월 정액을 지불하면 일본 전역의 다양한 지역에 마련된 거주지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이 서비스는 특히 지방 빈집 문제를 해결하고, 현대인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과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주요 특징월 정액제 서비스월 약 4만 엔(한화 약 40~45만 원)으로 전국의 여러 거주지를 이용 가능.숙박, 관리비 등이 포함된 비용으로 추가 요금 없이 이용.다양한 거주지 제공지방의 빈집, 유휴 별장을 리모델링하여 쾌적한 공간으로 제공.거주지는 도시, 산촌, 해안가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이용 방식한 거주지에서 최대 14일까지 머물 수 있으며, 이후 다른 지역으로 이동 가능.예약 시스템을 통해 원하는 거주지의 이용 가능 여부..

치매카페 - 마치다D맵

마치다시는 일본 도쿄 내의 시(市) 중 하나로, 기존의 치매와 고령을 위한 카페가 공공에서 운영되던 것에서, 마치다 시의 비영리단체와 마치다시의 스타벅스 매장의 점장의 의견이 맞아 처음으로 D(Dementia/치매)-cafe를 열면서 마치다시에 8개의 스타벅스 D-cafe가 있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마치다시 내 NPO인 치매프렌들리 사이트에 보면 다양한 활동이 있습니다.https://www.dementia-friendly-machida.org/ まちだDマップ認知症フレンドリーコミュニティまちだwww.dementia-friendly-machida.org D-cafe'특별한 장소'에서 '일상의 장소'로마치다 시에서는 치매카페를 D-cafe로 부르며 활동하고 있습니다. '치매카페'란 치매 환자나 가족, 지역 주..

연명의료결정제도

연명의료결정제도는 말기 환자나 임종기 환자가 연명의료(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시행되는 의학적 처치)를 받을지 여부를 본인 또는 대리인이 사전에 결정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존엄한 죽음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연명의료결정제도는 환자와 가족, 의료진 모두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제도로, 죽음을 준비하고 존엄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제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활용이 더욱 확대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웰다잉 문화가 사회적으로 정착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에서는 2018년 2월 4일부터 **‘연명의료결정법(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습니다.  연명의료의 정의연명의료는 생명을 연..

고령화사회 2025.01.27

웰다잉(Well-dying)

웰다잉은 "잘 죽는 것"을 뜻하는 개념으로, 죽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삶의 마지막을 존엄하고 의미 있게 준비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히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온 삶을 돌아보고 마무리하며,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안정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웰다잉은 단순히 죽음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남은 시간을 보다 의미 있게 보내고 삶을 긍정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개인의 존엄성을 보장하며, 사회적, 의료적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고령화 사회에서 웰다잉은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웰다잉의 핵심 요소자기결정권자신의 죽음과 관련된 의료적, 개인적 결정을 스스로 내릴 권리를 존중합니다.예: 연명치료 중단 여부, 호스피스 이용 결정.존엄성 유지신체적·정신적 고..

고령화사회 2025.01.27

고령친화 의료기기

고령친화 의료기기는 노년층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설계된 의료기기입니다. 노인의 건강 유지, 질병 예방, 치료, 재활 등을 지원하며, 사용이 쉽고 안전하며 효과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기는 고령자의 신체적 변화(시력 저하, 청력 감소, 근력 약화 등)를 고려해 설계되며, 사용자가 스스로 쉽게 다룰 수 있도록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간단한 조작법을 제공합니다. 고령친화 의료기기는 기술 발전과 함께 더욱 다양한 기능과 접근성을 갖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의 필요와 상황에 맞는 맞춤형 의료기기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단순한 관리 도구를 넘어, 노인의 건강과 안전을 종합적으로 보호하는 솔루션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고령친화 의료기기의 주요 특징사용 편의성: 직관..

노노상속(老老相続)

노노상속(老老相続)은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고령자가 또 다른 고령자에게 재산을 상속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본의 고령화와 장수화로 인해 나타난 현상으로, 일반적인 부모-자녀 간의 상속이 아닌, 노인이 자녀 세대인 또 다른 노인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상황을 말합니다. 노노상속은 단순히 고령화의 문제를 넘어,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역할과 재산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일본뿐 아니라 고령화가 심화되는 다른 국가에서도 유사한 문제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노노상속이 발생하는 배경초고령화 사회일본은 평균 기대수명이 매우 높아져 부모와 자녀 세대 모두 고령인 경우가 많습니다.예: 90대 부모가 60~70대 자녀에게 재산을 상속.재산 이전 시기 지연부모가 장수하면서 사망 후에야 자녀가 ..

고령화사회 2025.01.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