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사회

OECD Employment Outlook 2025 – 핵심 요약

gettingold 2025. 8. 21. 21:50
반응형

2025년 7월 9일 OECD는 를 냈습니다. 관련한 내용 요약과 한국 관련 부분도 요약한 내용입니다. 원 보고서도 아래 첨부합니다.

 

한국은 인구 고령화와 출산율 저하로 인한 노동력 감소라는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하지만 고령자·여성·이민자 등 미활용 인력을 적극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시키고, 유연한 고용 정책을 펼친다면 오히려 경제 성장의 기회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게 OECD의 분석입니다. 

OECD Employment Outlook 2025

1.  글로벌 노동시장 트렌드

  • 디지털화와 자동화:
    • AI와 자동화 기술이 고용 구조를 재편 중.
    • 반복적·예측 가능한 업무는 감소, 창의적·대인관계 중심 업무는 증가.
  • 원격근무와 하이브리드 모델:
    • 팬데믹 이후 정착된 유연근무가 지속될 전망.
    • 생산성과 만족도는 증가했지만, 고용 불안정성도 함께 증가.
  • 비정규직 증가:
    • 플랫폼 노동, 프리랜서, 계약직 등 비정형 고용이 확대됨.
    •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 문제 대두.

2.  고령화와 노동력 감소

  • OECD 전체:
    • 2060년까지 생산가능인구가 평균 8% 감소 예상.
    • 노년부양비는 52%까지 상승할 전망.
  • 경제 성장 영향:
    • 고령화가 없을 경우 GDP 누적 성장률 47% → 고령화가 있을 경우 25%로 감소.

3. 한국 관련 주요 내용 (영문판 기준)

  • 노동연령인구 감소폭:
    • 2023~2060년 사이 46.7% 감소 → OECD 최악 수준.
  • 고용률 하락 전망:
    • 8.1%p 감소 예상 → OECD 평균(1.9%p)의 4배 이상.
  • 여성·고령자 고용률:
    • 여성 고용률은 OECD 평균보다 낮지만, 고령자 고용률은 평균보다 높음.
  • 퇴직 연령:
    • 실제 퇴직 연령이 법정 정년보다 3~5년 높음 → 장기근속 경향.
  • 정책 제안:
    • 여성·고령자·이민자 고용 확대
    • 평생학습 및 재교육 강화
    • 유연한 근로시간제 도입
    • 사회안전망 보완 및 고용보험 확대

4.  정책적 시사점

  • 포용적 노동시장 구축 필요
    • 기술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강화
    • 비정규직 보호 및 사회안전망 확대
    • 고령자·여성·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장벽 완화
  • 생산성 향상과 복지의 균형
    • 단순히 고용률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질 높은 일자리 창출이 핵심

 

 

한국 노동시장 요약 (OECD Employment Outlook 2025 기준)

1.  실업률과 고용률

  • 실업률: 팬데믹 이후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 유지
    • 2023년 5월: 2.5%
    • 2024년 5월: 2.8%
    • 2025년 5월: 2.7%
  • 고용률: 꾸준히 증가 중
    • 2023년 1분기: 68.8%
    • 2024년 1분기: 69.5%
    • 2025년 1분기: 69.7%
    • 남성이 여성보다 10%p 이상 높음
    • OECD 평균보다는 낮은 수준

2.  임금 및 최저임금

  • 실질임금: 2021년 이후 누적 2.9% 상승 → OECD 중위값 상회
  • 최저임금:
    • 명목 기준 2021년 대비 15% 인상
    • 실질 기준으로는 0.8% 상승에 그침 (물가 상승 영향)

3.  고령화와 인구 구조 변화

  • 출생률:
    • 2022년: 0.78%
    • 2023년: 0.72% → OECD 최저
  • 노동연령인구(15~64세):
    • 2020년: 3,664만 명
    • 2024년: 3,562만 명 → 지속 감소
  • 고용률 전망:
    • 2023~2060년 사이 8.1%p 감소 예상 (OECD 평균 1.9%p보다 훨씬 큼)

4.  중장년층 노동 참여

  • 55~64세 인구:
    • 2020년: 804만 명 → 2024년: 841만 명
  • 고용률(55~64세):
    • 2024년 기준 69.9% → OECD 평균(64.6%)보다 높음
  • 실질 퇴직 연령:
    • 법정 정년보다 남성은 3.4년, 여성은 5.4년 더 오래 일함
    •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특히 두드러짐

5.  성장 잠재력과 정책 대응

  • 미활용 노동력 활용 시 성장률:
    • 2023~2060년 연평균 1.8% 성장 가능 → OECD 최고 수준 중 하나
  • 정부 대응 정책:
    • 평생학습 강화
    • 정년 연장 및 재고용 지원
    • 육아휴직 및 출산휴가 확대
    • 고령자·여성·이민자 고용 촉진

핵심 메시지

한국은 인구 고령화와 출산율 저하로 인한 노동력 감소라는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어. 하지만 고령자·여성·이민자 등 미활용 인력을 적극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시키고, 유연한 고용 정책을 펼친다면 오히려 경제 성장의 기회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게 OECD의 분석이야.

 

employment outlook 2025(en).pdf
6.89MB
employment outlook 2025(kr).pdf
0.51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