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활(終活, しゅうかつ)이란 '마치다(終) + 활동(活動)'의 일본어 줄임말로, 인생의 마무리를 준비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주로 일본의 노년층이 사망 후 남겨진 가족들에게 부담을 줄이거나, 자신의 마지막을 스스로 정리하기 위해 진행하는 과정입니다.
종활을 하는 사람들이 하는 활동
종활을 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합니다.
- 재산 및 유산 정리
- 재산 목록을 정리하고, 유언장을 작성함
- 상속 문제를 미리 조정하여 가족 간 분쟁을 예방
- 장례 준비
- 자신이 원하는 장례 방식(화장, 수목장 등)을 미리 결정
- 장례식 비용을 사전에 준비하거나 계약
- 유품 정리 및 단출한 생활 준비
- 필요 없는 물건을 정리하여 미리 단순한 삶을 준비
- 가족들에게 부담이 될 물건을 미리 처리
- 엔딩노트 작성
-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고 정리하는 노트 작성
- 중요한 연락처, 병력, 유언, 마지막 소원 등을 기록
- 묘지 및 사후 거처 결정
- 묘지 구매 또는 해양 산골(바다에 유골을 뿌리는 것) 결정
- 사후 가족들이 방문하기 쉬운 장소 선택
- 디지털 유산 정리
- SNS, 이메일, 온라인 계정 정리 및 삭제 방법 설정
- 남길 데이터와 삭제할 데이터를 결정
- 사회적 관계 정리
- 오랫동안 연락하지 않은 지인과 정리하는 과정
- 마지막 인사를 하고 싶거나, 화해하고 싶은 사람에게 연락
종활이 주목받는 이유
- 고령화 사회: 일본은 초고령화 사회로, 홀로 사는 노인이 많아지면서 생전에 정리를 하는 것이 중요해짐.
- 가족 부담 경감: 남겨진 가족들이 유품을 정리하거나 장례를 준비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 자신의 마지막을 주도적으로 결정: 죽음을 미리 준비함으로써 삶을 후회 없이 마무리하기 위해.
한국에서의 '웰다잉(Well-dying)'과 노년층의 활동
최근 한국에서도 '웰다잉(Well-dying)'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일본의 종활과 비슷한 활동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노년층은 단순히 죽음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준비하는 방식으로 삶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1. 유언장 및 엔딩노트 작성
- 재산 상속 및 가족들에게 남길 말 정리
- 본인의 삶을 기록하고 추억을 정리하는 엔딩노트 작성
- 법적 효력이 있는 공증 유언장을 작성하는 경우도 증가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 연명 치료를 받을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생을 마무리할 것인지 미리 결정
- 국가에서 운영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작성 가능
3. 장례 준비
- 자신이 원하는 장례 방식(수목장, 화장, 자연장 등) 미리 선택
- 장례식 비용을 마련하거나 사전 계약하는 경우도 많아짐
- 가족들에게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간소한 장례를 준비하는 경향
4. 유품 및 재산 정리
- 필요 없는 물건을 미리 정리하여 가족들의 부담 줄이기
- 기부를 하거나, 미리 정리해서 최소한의 물건만 남기는 미니멀 라이프 실천
5. 디지털 유산 관리
- SNS 계정, 이메일, 온라인 금융 계좌 등을 정리
- 가족이나 지인에게 접근 권한을 넘기거나 삭제 요청 준비
6. 웰다잉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 참여
- '웰다잉 교육'을 통해 죽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연습
- '수의 입어보기' 체험, 모의 장례 체험 등을 통해 죽음을 준비
- 철학적·종교적으로 죽음을 이해하고 마음의 준비를 함
7. 사회적 관계 정리 및 마무리 활동
- 오랫동안 연락하지 않았던 사람들과 관계를 정리
- 가족 및 지인과의 화해, 마지막 인사 준비
- 죽기 전 버킷리스트 실천 (여행, 하고 싶었던 취미 활동 등)
8. 노년기 자기 계발 및 봉사 활동
- 새로운 취미나 배움을 통해 의미 있는 삶을 지속
- 요양원 봉사, 독거노인 돕기, 후원 활동 등 나눔 실천
- 노년층 대학(실버 대학) 참여하여 지속적인 배움
한국에서 웰다잉 문화가 확산되는 이유
- 고령화 사회 진입 → 100세 시대에 대비하여 삶과 죽음에 대한 준비 필요
- 연명의료 거부권 강화 → 존엄한 죽음을 맞이하고자 하는 인식 변화
- 장례 문화의 변화 → 간소한 장례식과 자연친화적 장례 방식 증가
- 가족 부담 최소화 → 사후 가족이 감당해야 할 일들을 줄이기 위한 대비
반응형
'고령화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와 한미일 사례 (2) | 2025.02.01 |
---|---|
노인 우울증 (2) | 2025.01.30 |
에이지 프렌들리 가이드라인(Age-Friendly Guidelines) (0) | 2025.01.28 |
연명의료결정제도 (0) | 2025.01.27 |
웰다잉(Well-dying) (0) | 2025.01.27 |